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치의학대학원 안진수 교수 공동연구팀, 해양 생물의 접착력을 치과치료에 응용 가능한 접착제 개발
□ 치과치료, 해양생물은 이미 알고 있었다 ○홍합과 같은 해양 고착생물은 파도가 심하게 치는 바닷물에서도 바위에 강하게 붙을 수 있다. 세계 많은 과학자들이 해양생물을 모방한 접착제 개발에 힘써왔으며, 다양한 성과들을 얻어냈으나 임상 응용 측면에서는 부족함이 있었다. 그런데 이번에 서울대-캘리포니아대 국제공동연구팀이 해양생물의 접착력을 실제 치료에 응용할 수 있는 나노 접착제를 개발하는 데 성공하였다. ○해결의 실마리는 치과치료에서 나왔다. 치과의사는 타액이 많고 악조건인 구강에서 치아에 수복재료를 붙이기 위하여 산(酸)을 이용하여 치아표면을 준비하고 접착제가 잘 붙...

지구환경과학부 김종성 교수, 해양환경 분야 국제학술지에 '황해생태계'연구 특별호 출간
서울대학교 김종성 교수는 해양환경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술지(SCI)인 ‘Chemosphere’에 우리나라 서해갯벌을 포함한 “황해생태계”를 주제로 특별호를 출판하였다. Chemosphere에서 우리나라 해역과 생태계를 주 대상으로 하여 특별호로 출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금번 ‘황해생태계’ 특별호는 지난해 3월 서울대 주최로 열린 ‘제2회 황해생태계(Yellow Sea Ecosystem Symposium, 이하 YES): 오염, 생태계 위협, 환경과 건강’이란 한·중 국제심포지움에서 발표된 총 60여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리뷰 과정으로 거쳐 학술적으로 우수...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남좌민 교수팀, 초저농도 표적 유전자 진단 원천기술 개발
□ 내용 및 의의 o 서울대학교(총장 성낙인)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남좌민 교수팀은 유동성 있는 생체모방 지지형 지질 이중층 (supported lipid bilayer, SLB) 위에서 DNA가 수식된 금 나노입자의 결합 및 해리 반응의 동력학적 현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수십에서 수천 가닥 정도의 미량의 표적 유전자를 정밀하게 정량화하는 원천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다. 두 개의 금 나노입자 사이에서 단일 가닥의 표적 DNA가 가역적으로 혼성화하는 반응 과정을, 개개의 금 나노입자가 이합체로 결합되었다가 해리되면서 변화되는 산란 (scattering) 신호로부터 ...

자연대 김성근 교수 연구팀, 135년 동안 사용된 분자의 숨겨진 광안정성 비밀 발견
분자가 에너지를 받아 들뜬 상태가 되는 과정은 분자의 성질과 화학반응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기 때문에 오랫동안 다양한 분야에서 지대한 관심을 받아온 현상이다. 특히 소자가 작동하는 에너지원으로 빛을 사용하는 OLED와 유기태양전지 등이 최근 첨단기술로 대두되면서 이들의 구성물질인 염료 분자의 들뜬 상태와 동적 변화에 대한 관심 또한 급격히 고조되고 있다. 최근 서울대학교 화학부 김성근 교수 연구팀은 1882년 발견된 이래 미국 FDA와 EU의 승인을 받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어온 황색 염료인 퀴놀프탈론이라는 물질(상업명 퀴놀린 옐로우)이 갖는 특이한...

지구환경과학부 이성근 교수팀, 거대 지진의 단층면 마찰용융과정 원자 단위 메커니즘 규명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이성근 교수 연구팀은 경상대 한래희 교수, 안동대 정기영 교수, 일본 해양연구개발기구의 히로세 박사와 공동으로, 거대지진의 발생에 수반되는 단층에서 마찰용융과정의 새로운 원자 단위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관련 논문이‘Nature Geoscience’에 2017년 5월 15일(월) 24시 온라인판에 게재되었다 (http://www.nature.com/ngeo/). ○논문제목 : Quasi-equilibrium melting of quartzite upon extreme friction ○학술지 : Nature Geoscience ○...

물리,천문학부 피셔 교수팀, 팽창하는 극저온 양자 기체를 통해 우주 생성의 원리를 밝힌다.
인플레이션 이론은 이전까지 풀리지 않았던 우주론의 많은 문제들을 해결하였다. 특히 인플레이션 이론은 우주 초기의 양자 요동이 급가속 팽창을 통해 동결되어 현재의 우주에 나타나는 거대 구조(은하와 은하단)를 형성했음을 설명해준다. 그러나 인플레이션 이론은 그 성취의 대가로‘초 플랑크 영역의 문제’라는 다른 문제를 만들어 내었는데, 인플레이션에 의한 팽창이 너무 큰 나머지 현재의 거대구조가 우주 초기에는 현대 물리학이 설명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영역인 플랑크 영역보다 작은 곳에서 시작되었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극단적인 초기상태를 가지는 우주를 구현하는 일은 불가능하나, ...

화학부 박충모 교수팀, 식물의 지구온난화 대응 원리 규명
□ 연구진: 박충모 교수 외 3명 □ 지구온난화로 생태계 파괴 및 식량 생산 위기 초래 ○지구온난화란 19세기 후반기부터 화석연료의 과다 사용과 대규모 산림벌채 등 환경파괴에 따른 온실가스 방출로 인하여 지구 표면 온도가 서서히 증가하는 현상을 말함. ○특히, 20세기 들어 세계 인구 및 산업화의 급증으로 인하여 지구온난화는 인간은 물론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 생존을 위협하는 범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인류의 주요 식량 제공원인 농작물의 경우 최근의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식물 종의 존립 및 분포가 크게 위협받고 있으며, 이미 식물의 개화가 빨라지고, 채소작물의...

국제농업기술대학원 연구팀, 지카 바이러스 억제물질 발견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김도만 교수팀은 지카 바이러스의 비구조적 단백질인 NS2B-NS3pro의 활성을 억제하여 바이러스의 생장을 제어할 수 있는 천연물질을 확인하였다. 연구팀은 지카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내에서 살아가기 위해 필수적인 NS2B-NS3pro의 활성을 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인 미리세틴(Myricetin)이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미리세틴은 차, 과일, 채소, 약초 등에 존재하는 천연 물질로 지카 바이러스를 예방하는 식·의약용 소재로 개발할 수 있음을 기대하게 한다. 본 연구 결과는 최근 SCI 국제 학술지인 Biotechnology Letters...

김도만 교수 연구팀, 지역 특산물 메밀 발효 기능성 식품 소재 생산 등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의 김도만 교수 연구팀과 박태섭 교수 연구팀은 메밀 및 메밀 가공 부산물의 발효를 통해 기능성 소재가 강화된 발효 메밀을 생산하고, 이를 양계의 사료첨가제로 활용하여 계란 난황 내에 기능성 소재의 성분이 강화된 디자이너 계란을 생산하는 방법을 공동으로 개발하였다. 공동 연구팀은 평창 지역의 대표적 특산물인 메밀을 전통 발효 식품으로부터 분리한 Rhizopus 균을 이용하여 천연 발효를 진행하였고, 발효 후 L-카르니틴과 가바의 함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발효 조건과 분석 방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L-카르니틴과 가바 함량을 증대시킨 발효 ...

공과대학 강유 교수팀, 대용량 그래프에서 랜덤 워크 기반 고속 랭킹 기법 개발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강 유 교수 연구진은 소셜 네트워크, 웹, 그래프 기반 추천 시스템 등의 랭킹에 널리 활용되는 RWR (Random Walk with Restart) 알고리즘이 대용량 그래프를 빠르게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RWR은 그래프에서 랜덤 워크 (Random Walk)를 통해 한 정점을 기준으로 다른 정점에 대한 중요도를 계산하는 랭킹 기법으로 개인화된 추천에 적합하여 정점 랭킹, 추천 시스템, 링크 예측 등의 다양한 그래프 마이닝 응용에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소셜 네트워크에서 특정 사용자와 다른 모든 사용자간의 유사도를 계...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강진호 교수팀, 식물 털의 발달 및 해충 저항성 기능 입증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강진호 교수팀, 식물 털의 발달 및 해충 저항성 기능 입증 식물에도 털이? - 털의 발달 및 해충 저항성 기능 입증 -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강진호 교수팀은 식물 표피세포의 일종인 모상체(털) 발달 유전자 연구를 통해 식물의 털이 해충 저항성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밝혀냈다. 토마토를 포함한 가지과 식물의 털은 다양한 해충저항성 물질을 생산하는 화학공장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털의 발달 기작에 대한 정보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팀은 미국 미시건 주립대 Gregg Howe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액틴(actin) 합성에 관여하는 SR...

자연대 김성근 교수팀 등, 크리스퍼(CRISPR-Cas9) 유전자가위가 작동하는 방식을 단일분자 수준에서 관찰
유전자교정 (genomeediting) 기술은 말 그대로 유전자를 변경해서 새로운 형질을 만들어내는 기술을 말한다. 그중 가장 최근에 개발된 크리스퍼 (CRISPR-Cas9) 유전자가위는 인간이나 동식물의 세포에서 특정 유전자를 담고 있는DNA를 가위처럼 잘라내는 효소로서, 표적DNA를 구별하는 가이드 RNA와실제로 DNA를 잘라내는Cas9 단백질로 구성된다. 크리스퍼 기술을 이용하면 유전자를 잘라내고 새로 바꾸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유전자가위는에이즈, 혈우병등 유전 질환을 치료하고, 농작물의 품질 개량 등을 이룰 수 있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