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골 재생을 유도하는 표적단백분해기술(TPD) 기반 혁신 신약의 개발
치의학대학원 김진만 교수팀
서울대학교, 아주대학교, 차의과학대학교, 연세대학교 연구진으로 구성된 융합연구단은 PROTAC 기술을 재생 치료 분야에 최초로 적용하여, 골 재생을 유도할 수 있는 MDM2 표적 PROTAC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광열 신경 자극에서 온도 변화에 따른 신경 활동 변화 탐지
의과대학 강홍기 교수팀
본 연구에서는 세포막의 온도 변화와 전기 신호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투명 저항 온도센서(Transparent Resistive Temperature Detector, tRTD)와 다채널 투명 전극 어레이(Microelectrode Array, MEA)를 결합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새로운 전자전달경로 설계를 통한 글루탐산 감지법 개발
화학부 정택동 교수, 송윤주 교수 공동연구팀
서울대학교 송윤주 교수와 정택동 교수 공동연구팀(제1저자 한민정, 윤선희)이 글루탐산 산화효소(GlutOx)에 금속 착물을 위치 특이적으로 결합시켜, 효소 내부의 전자 흐름 경로를 정밀하게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

대사이상 지방간 질환 환자에서의 항생제 노출과 심혈관질환 위험 연관관계 확인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과 박상민 교수 연구팀 (공동1저자 서울대 의과학과 강주현, 박선재 연구원)은 대사이상 지방간 (MASLD, Metabolic Dysfunction-Associated Steatotic Liver Disease) 환자에서 항생제 사용이 심혈관질환 위험과 연관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살아있는 세포처럼 변형·분리·합체하는 액체 로봇 개발
서울대 공대 김호영·선정윤 교수-가천대 박근환 교수 공동 연구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기계공학부 김호영 교수·재료공학부 선정윤 교수와 가천대학교 기계·스마트·산업공학부 박근환 교수의 공동 연구팀이 액체 기반의 차세대 소프트 로봇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대규모 언어모델로 신소재 합성 가능성 예측·해석하는 기술 개발
화학생물공학부 정유성 교수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화학생물공학부 정유성 교수팀이 미국 포덤대학교(Fordham University)와의 공동 연구로 대규모언어모델(Large Language Model, 이하 LLM)을 활용해 신소재의 합성 가능성을 예측하고, 그 예측 근거를 해석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지구온난화로 전 지구 육지의 물이 줄어들고 있다
지구과학교육과 서기원 교수팀
서울대 서기원 교수가 이끄는 국제 공동 연구팀은 21세기 들어 지구온난화 등에 의해 대기로 증발되는 수증기량이 많아졌기 때문에 이 계산이 맞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여 엄청난 육지 물 감소를 추적할 수 있는 증거를 찾기 시작하였다.

고령 인구에서의 미세먼지 단기 노출과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 연관 관계 확인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팀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베이스와 국가대기환경정보관리시스템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새롭게 심혈관질환(관상동맥질환, 뇌졸중) 진단을 받은 65세 이상 고령 인구 471,706명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 및 환경 요인을 보정한 후, 미세먼지 단기 노출과 심혈관질환 발생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이산화탄소 전환 속도 향상 극대화, 전해질 내 물 역할 조절이 관건
화학부 황윤정 교수팀
서울대 화학부 황윤정 교수 연구팀은 산성 환경에서 전기화학적 CO2 환원 반응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전략을 제시했다. 전기화학적 CO2 전환 기술은 상온 상압에서 활용도 높은 화합물을 합성할 수 있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혈관구조가 포함된 근육 모사체를 이용해 대면적 근육 손상 치료
치의학대학원 김우진 교수팀
체적 근육 손실(Volumetric Muscle Loss, VML) 발생 후 근육을 재생하고 기능을 회복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한 임상적 도전 과제로 남아 있으며, 기존 치료법이 발전했음에도 불구하고 완전한 해결책은 부족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