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식물 병원성 곰팡이의 새로운 병원성 메커니즘 규명
농생명공학부 이용환 교수팀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이용환 석좌교수 연구팀은 벼 도열병균의 핵 이펙터인 MoHTR1이 기주식물 내에서 핵으로 이동하는 기작을 처음으로 규명하였다.

VR·AR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카메라 초소형화 기술 개발
전기정보공학부 김영진 연구원, 최태원 연구원 공동연구팀
광공학 및 양자전자연구실 연구팀이 차세대 나노광학 소자인 ‘메타표면’을 활용한 폴디드 렌즈 시스템으로 카메라의 부피를 대폭 줄이는 광학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끝없이 영상 생성하는 AI 비디오 생성 기술 개발
전기정보공학부 한보형 교수 연구팀
전기정보공학부 한보형 교수 연구팀이 별도의 학습 없이 무한한 길이의 비디오를 생성할 수 있는 혁신적인 인공지능(AI) 기술 ‘피포 디퓨전(이하 FIFO-Diffusion)’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혀에서 이루어지는 단맛의 조절
생명과학부 최명환 교수팀
생명과학부 최명환 교수 연구팀이 혀에서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을 것이라 여겨졌던 세포인 미각교세포가 맛 적응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툰드라에서 열대림까지 기온 상승에 순응하며 광합성 능력을 증가시키다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류영렬 교수 연구팀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류영렬 교수 연구팀이 식물 광합성의 온도순응력이 기후 변화 속 탄소 흡수 예측에 중요한 역할임을 밝혀냈다.

고등 인지 기능에 핵심인 ‘인지 유연성 담당 뇌 회로’ 규명
생명과학부 김형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김형 교수 연구팀이 인지 유연성을 제어하는 뇌의 심부 영역들을 발견하고, 이 영역들이 습관 고정성을 담당하는 뇌 심부 영역들과 분리되어 있음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노화 세포의 복잡한 생체 분자 오케스트레이션, 노화 연관 염증 반응의 특이적 억제 실마리를 제공!
생명과학부 강찬희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강찬희 교수 연구팀이 노화 세포의 염증 인자 발현을 선택적으로 증가시키는 다채로운 생체 분자 오케스트레이션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인공지능을 활용해 인간의 원초적 본능인 배고픔과 식욕 담당 신경을 규명하다
의과대학 최형진 교수 공동연구팀
의과대학 최형진 교수 공동연구팀이 인공지능을 활용해 인간의 본능을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

유전자 편집 과정에서 발생하는 긴 DNA 손실 발생원인 규명
의과대학 배상수 교수 연구팀
의과대학 배상수 교수 연구팀이 염기교정 및 프라임교정 유전자가위 모두 비록 20배 정도의 낮은 빈도지만, 긴 DNA 염기서열 손실을 마찬가지로 발생시킨다는 것을 처음으로 밝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