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mRNA 백신 작동원리 세계 최초 규명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팀
새로운 치료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는 mRNA 백신을 더욱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실마리를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석좌교수 연구팀이 밝혀냈다.
연구성과 게시판

실리콘 스핀 큐비트 에너지 잡음의 수동 및 능동 억제
물리천문학부 김도헌 교수팀
본 연구를 통해 반도체 양자점 큐비트 소자의 전하센서에서 오는 잡음을 줄이고, 큐비트에 영향을 주는 저주파 잡음을 실시간으로 추정하며 그에 따른 주파수 되멁임 (피드백)을 가함으로써 큐비트의 제어 충실도와 정확도를 크게 향상하였다.

생명의 비대칭성, 클립 모양 분자로 그 기원을 설명하다
화학부 이동환 교수 연구팀
서울대학교 화학부 이동환 교수 연구진은 분자 클립을 이용해 생명체의 단일 카이랄성 기원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발견했다.

수소연료전지 촉매 내구성 고속 평가 기술 개발 및 열화 원인 규명
화학생물공학부 박정원·류재윤 교수 공동 연구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화학생물공학부 박정원, 류재윤 교수팀이 현대자동차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수소연료전지 촉매의 내구성을 신속하게 평가하고, 열화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혁신적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2차원물질의 역학적 변형을 이용한 엑시톤 수송 제어 연구
물리천문학부 박홍규 교수 연구팀
물리천문학부 박홍규 교수 연구팀이 재구성 가능한 단일층 텅스텐 디셀레나이드 주름 구조에서 효율적이고 제어 가능한 상온 엑시톤의 수송을 성공적으로 관찰하였다고 밝혔다.

천연물 기반 친환경 농약 개발의 새로운 파이프라인 제시
농생명공학부 탁준형 교수 연구팀
농생명공학부 탁준형 교수 연구팀이 천연물의 조성비를 통해 약효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링 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활용하여 조성비를 최적화하는 새로운 파이프라인을 제시하였다.

AI를 활용한 면역항암 치료용 새로운 효소 발굴
화학부 송윤주 교수, 생명과학부 Martin Steinegger 교수 공동연구팀
화학부 송윤주 교수 및 생명과학부 Martin Steinegger 교수 연구팀은 AI를 활용해 면역항암을 위한 새로운 효소를 발견하는데 성공하였다. 이들이 개발한 'SeekRank' 알고리즘은 대규모 단백질 데이터베이스 분석을 통해 유망한 단백질을 발굴하고, 질병 치료 및 바이오 산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응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소뇌 신경-교세포 회로를 통한 통증 처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의과대학 김상정 교수 연구팀
의과대학 김상정 교수 공동 연구팀이 소뇌 신경-교세포 회로를 통해 통증을 처리하는 새로운 기전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샤페론 매개 자가포식과 Sort1의 연결고리 규명을 통한 지방간의 다중표적 치료법 가능성 제시
약학대학 이병훈 교수팀
이번 연구는 지방간 질환의 병리학적 원인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했을 뿐 아니라, 간 건강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열어갈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생쥐에서 구강편평태선과 유사한 조직병리 유도
치의학대학원 최영님 교수팀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최영님 교수 연구팀, 최초 OLP 동물 모델 개발: 구강 편평태선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다

패혈증비브리오균 차세대 제어 기술 기반 구축
농생명공학부 최상호 교수팀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최상호 교수 연구팀이 패혈증비브리오균(Vibrio vulnificus)의 전사조절자 전체의 특성을 포괄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패혈증비브리오균의 차세대 제어 기술 개발의 기반을 구축한 연구 결과를 최근 저명한 국제 학술지인 ‘Nucleic Acids Research’에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