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기후변화에 따른 봄철 개화 기간 단축 규명
사범대 김재근 교수 연구팀
기후변화에 의한 온도 상승과 봄철 강우량 감소가 전반적인 개화 기간이 단축되는 결과를 초래함이 최초로 밝혀졌다.

난치성 육종암의 표적 항암치료 길, 국내연구진이 열었다
생명과학부 김진홍 교수 연구팀
생존율의 뚜렷한 향상 없이 몇십 년간 답보상태에 머무르고 있는 연골육종의 새로운 치료방법에 대한 근거가 제시됐다.

아프리카소 진화의 비밀 국내연구진 풀어, 유전학 최고 권위지 표지논문 선정
농생명공학부 김희발 교수팀
농생명공학부 김희발 교수팀이 주도한 국제 연구진이 8년 간의 연구 끝에 아프리카소의 진화와 적응의 역사를 풀어냈다.

유연 신축성 디스플레이 개발 핵심에 다가서다
전기·정보공학부 홍용택 교수팀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유연 신축성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는 인쇄 공정 기반 투명 전극 패터닝 기술과 이를 활용한 주름 구조 기반의 신축성 유기 발광 소자의 화질 개선 기술을 개발하였다.

인공지능 활용해 두뇌 특성 모사한 하드웨어 설계 성공
전기정보공학부 박남규 교수팀
서울대 공대(학장 차국헌)는 전기정보공학부 박남규 교수, 유선규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 기술의 딥러닝 인공신경망을 활용하여 두뇌와 유사한 네트워크 특성을 갖는 하드웨어 설계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2차원 물질기반 세계최고효율의 발광소자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연구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은 2차원 재료 이종 구조로 게이트 전압 조절과 다중 동작 모드가 가능한 발광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차세대 정보저장장치 DNA-디스크 개발
전기정보공학과 권성훈 교수 연구팀
머리카락 굵기 DNA-디스크에 저장, 손 안의 데이터 센터 실현. 저장성과 안정성 크게 향상, 미래 연구 선제적 방향 제시.

5월 “코로나 기회론” 우세, 8월엔 “위기론” 인식 역전
보건대학원 김홍수, 유명순, 이태진, 조성일 교수
보건대학원이 ‘코로나19 기획 연구단’ 첫 사업으로 동일 응답자를 대상으로『코로나19와 사회적 건강』 설문 제1차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북반구 생태계 변화 규명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 연구팀
위성 관측을 이용한 육상 생태계 분석을 통해 지난 40년간 기후변화가 북반구 고위도 지역 식물의 성장을 빨라지게 했다는 것이 최초로 밝혀졌다.

투명물질의 레이저 기반 초고속 가공법 개발
고승환-전누리 교수 연구팀
기계공학부 고승환-전누리 교수 공동 연구팀이 바이오칩 쾌속 제작에 적용될 수 있는 초고속 레이저 직접 가공법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