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동해 해수 순환의 구조와 변동 원인 규명
지구환경과학부 남성현 교수팀
자연과학대학 남성현ㆍ 조양기 교수팀이 동해 심층 해수 생성 과정의 변동에 수반되는 중층 및 심층 해수의 순환 구조와 그 변동 현상을 최초로 발견하였다.

유전자 조절망에 기반한 식물 저장뿌리의 비대 생장 조절 전략 발견
생명과학부 이지영 교수 연구팀
한국의 대표적 뿌리 작물인 무의 유전자 발현 조절망 규명을 통해 기후 변화에 지속 가능한 작물의 생산 전략 제시

유전자 발현 조절하는 'RNA 결합부위' 발견
김빛내리 석좌교수, 김종서 책임연구원 연구팀
RNA와 결합하는 RNA 결합단백질 정확한 결합 부위 발견. 질병과 세포 기능에 관련된 단백질의 조절 기작을 밝히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

포항 지진 사례 통한 지진 발생 메커니즘 논문 출간
지구환경과학부 이강근 교수 공동 연구팀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에 참여했던 주요 연구자들이 포항 Mw 5.5 지진 사례를 통해 물 주입에 따른 촉발/유발지진 발생 메카니즘을 제시한 “Causal mechanism of injection-induced earthquakes through the Mw 5.5 Pohang earthquake case study”논문을 자연과학분야의 권위있는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5월 26일(화)자에 게재하였다.

화학부 석차옥교수 연구팀, 코로나19 스파이크 단백질 3차원 구조 완성
화학부 석차옥 교수 연구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에 침입하는 데 첫 관문을 뚫기 위해 사용하는 단백질이 바이러스 표면에 붙어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The Stone-Base Illusion - 우리나라 전통 덤벙주초 구조에서 착시
심리학과 오성주 교수
덤벙주초는 자연에 놓인 돌멩이 그대로 기둥을 받치는 주초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사찰이나 한옥에서 찾기 쉽다.

사파이어 나노 구조물을 활용한 차세대 micro-LED 디스플레이 원천 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윤의준 교수 연구팀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은 재료공학부 윤의준 교수 연구팀이 100 nm 두께의 구조물 (이하 사파이어 나노 멤브레인)을 활용해 고효율 micro-LED (Micro- Light-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주사백신의 어려움을 극복한 먹이 백신 개발'
수의과대학 박세창 교수 연구팀
인구 증가 및 수산 자원의 고갈 등으로 양식의 중요성 증대. 경제성 위주의 밀집 사육으로 집단 질병 발생 및 그로 인한 피해의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