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원자 단위 수준 화학 반응 실시간 관찰 가능한 플랫폼 개발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박정원 교수-한양대(에리카) 기계공학과 이원철 교수 공동 연구팀
코로나19 등의 바이러스 반응 기작, 단백질 구조, 차세대 연료전지, 촉매 반응 등을 연구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술 세계 최초 개발

IBS, 베일에 싸여있던 물리량 ‘양자거리’ 잰다
강상관계 물질 연구단 양범정 교수
기초과학연구원(IBS) 강상관계 물질 연구단 양범정 교수(서울대 물리천문학부)는 임준원 책임연구원, 김규 원자력연 책임연구원과 함께 측정이 불가능했던 고체의 ‘양자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세계 최초로 제시하였다.

배터리 수명 줄이는 열화과정 원인 규명
IBS 나노입자 연구단 현택환 연구단장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 나노입자 연구단 현택환 단장(서울대 석좌교수)과 성영은 부연구단장(서울대 교수) 연구팀은 유승호 고려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팀과 함께 온도에 따른 리튬이온배터리 전극물질의 구조 변화를 관측하고, 배터리 열화과정의 근본 원인 규명에 성공했다.

석류 유래 유로리틴A의 당뇨성 치매 치료효과 규명
수의과대학 한호재 교수 연구팀
이번 연구 성과는 장내미생물 대사물질인 유로리틴A의 미토콘드리아 칼슘 제어 효과를 규명하고 당뇨성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및 치료물질로 활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빠른 오류 제어가 가능한 양자컴퓨팅 방법 개발
물리천문학부 정현석 교수 연구팀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정현석 교수 연구팀은 빠르고 정확한 오류의 수정이 가능한 양자컴퓨팅 방법을 설계하였다.

‘영화처럼 화면 자유자재로’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 개발
재료공학부 이태우 교수 연구팀
SF 영화 속에 등장하는 자유자재로 휘거나 접히고 피부에 부착해 사용할 수도 있는 스트레쳐블 디스플레이의 개발이 한 걸음 가까워질 전망이다.

빛으로 동작하는 컴퓨팅 시대 이끌 격자 매질 개발
전기정보공학부 박남규 교수 연구팀
차세대 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광학/양자 컴퓨팅 실용화를 위한 원천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됐다.

전자 1개가 여러 원자에 존재하는 새로운 양자상태 발견
물리천문학부 박제근 교수팀
자성을 띤 2차원 물질에서 독특한 신호를 발견하고, 이 신호가 전자 1개가 여러 원자에 나뉘어 존재하는 양자다체상태의 새로운 엑시톤 임을 밝혀내었다.

전기 변색 기반한 새로운 디스플레이 소재 개발
전기·정보공학부 이병호 교수 연구팀
전기·정보공학부 이병호 교수, 화학부 정택동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이 전기 변색 물질인 산화텅스텐 나노 박막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소자를 개발했다.

획기적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 장수명 발광 다이오드(LED) 개발
재료공학부 이태우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태우 교수 연구팀(김호범 박사, 김주성 연구원, 허정민 연구원)이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로 각광받을 발광 다이오드(LED)를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