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무당벌레 모사 점핑-글라이딩 로봇 개발
기계공학부 조규진 교수 연구팀
국방생체모방 자율로봇 특화센터 조규진 교수팀이 무당벌레를 모사한 종이접기 기반 구조와 이를 활용한 로봇을 개발했다.

세계 첫 코로나19 정복을 위한 밑그림 그려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석좌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장혜식 교수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원인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의 고해상도 유전자 지도를 완성했다.

뇌전증 발작 위험 실시간 감시하는 뇌 센서 개발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 연구단 현택환 단장(석좌교수) 연구팀
기초과학연구원 나노입자 연구단 현택환 단장 연구팀 뇌 포타슘이온 농도 측정해서 살아있는 생쥐 발작정도 관찰. 뇌전증, 치매 등 뇌질환 정밀 진단 기대.

장내 병원균의 감염에 필수적인 단백질의 구조 규명
화학부-노트르담대 공동연구팀
사람의 장내에 기생하는 Campylobacter jejuni(CJ)는 세균성 식중독 또는 위장염의 주요한 원인균이며 대장염과 대장암과의 관련성도 입증되었다.

지방세포 분화의 새로운 연결고리 발견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 연구팀
지방세포 분화를 조절하는 새로운 기전을 밝힘으로써 지방세포 수적 증가에 의한 비만과 인슐린 저항성과 같은 대사질환 극복의 가능성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장내 미생물의 알코올성 지방간 발생 및 완화 기전 규명'
보건대학원 고광표 교수 공동 연구팀
고광표 교수(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연구팀이 보라매병원, 아산병원, ㈜고바이오랩 연구팀 등의 연구진과 공동으로 알코올 섭취에 따른 인체 장내 마이크로비옴의 변화 양상을 규명하고, 장내 미생물 중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Roseburia intestinalis)의 알코올성 지방간 완화 효능 및 관련 기전을 규명했다.

'면역세포를 통한 나쁜 지방세포 교체 기전 규명'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 연구팀
최근 비만 인구는 전세계적으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를 반영해 세계보건기구는 비만을‘21세기 신종 전염병’으로 규정했다.

퇴행성관절염, 연골재생을 위한 새로운 길 열어
생명과학부 김진홍 교수 등 공동연구팀
퇴행성관절염 환자들의 연골을 재생할 수 있는 실마리가 풀렸다. 퇴행성관절염은 연골이 점차 손상되어 없어지는 질병으로,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이 없어지기 때문에 환자로 하여금 극심한 고통을 유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