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이광수 ‘무정’·中 루쉰 ‘아Q정전’ ‘근대 수용 자세’ 어떻게 다를까
김윤식교수 평론집 ‘다국적 시대의 우리 소설 읽기’ 문학평론가인 김윤식(74) 서울대 명예교수가 평론집 ‘다국적 시대의 우리 소설 읽기’(문학동네)를 최근 펴냈다. 2009년 한 해 동안 각종 세미나와 문학제, 문예지 등에 발표한 글 12편을 모은 평론집에서 김 교수는 김동리·서정주·이광수·이병주·이호철·박상륭·김연수 등 여러 문인의 작품론을 통해 다국적 시대 한국 문학이 가는 길을 살펴본다. 특히 ‘벽초와 이청준을 잇는 어떤 고리’라는 제목의 평론에서 김 교수는 홍명희의 ‘임꺽정’과 김은국의 ‘순교자’와의 관계 속에서 이청준의 ‘신화를 삼킨 섬’이 어떻게 한국적 특...

국내외 韓연구진, 바이오연료 합성 장애 극복
국내외 韓연구진, 바이오연료 합성 장애 극복 재미 한국인과 국내 대학 공동 연구진이 식물을 이용한 에탄올 생합성의 장애물을 극복, 바이오 연료 생산 효율 개선의 길을 열었다. 일리노이대 진용수 교수와 박사후 과정 하석진 연구원, 서울대 서진호 교수 등이 참여한 한미 공동 연구진은 식물 속 포도당과 자일로스를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효모균주(Saccharomyces cerevisiae)를 확립하고, 이를 이용한 동시발효법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포도당이 효모균에서 발효 먹이로 선호되는 반면 식물의 잎.줄기에 풍부한 리그노셀룰로스의 구성 요소인 자일로스는 발효가 잘...

의대 김정훈 교수팀, 금나노입자가 미숙아 망막병증 치료
의대 김정훈 교수팀, 금나노입자가 미숙아 망막병증 치료 서울대 의대 김정훈 교수팀은 미숙아(37주 이전 출산)에 흔한 망막병증 치료에 금 나노입자가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망막병증은 미숙아 중에 25% 비율로 생기는 병으로, 사물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심해지면 실명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김정훈 교수팀은 인위적으로 미숙아 망막병증을 생기게 한 쥐에 금 나노입자를 주사로 투여했다. 그 결과 금 나노입자가 망막병증을 일으키는 단백질을 억제, 망막병증이 완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관련 성과를 국제학술지 '바이오머티리얼즈(Biomaterials)...

의과대학 박종완 교수팀, 곰팡이 추출물 간암 억제 효과 증명
의과대학 박종완 교수팀, 곰팡이 추출물 간암 억제 효과 증명 국내 연구진이 흙에 사는 곰팡이에서 추출한 항생물질이 간암 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처음 밝혀냈다. 서울대 의대 박종완(49·사진) 교수 연구팀은 19일 흙곰팡이(케토미움) 균종에서 분비되는 ‘케토신’이라는 항생물질이 암 세포의 혈관 형성을 차단해 간암의 성장을 막는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을 통해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의 성과는 간암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연 것으로 평가돼, 간 관련 국제학술지인 온라인판에 실렸다. 연구팀은 암 성장에 관여하는 히스톤 단백질의 관련 효소가 케토신에 의해 억제된...

지구환경과학부 정해명 교수, '피인용지수 높은 50개 논문' 선정
지구환경과학부 정해명 교수, '피인용지수 높은 50개 논문' 선정 지구환경과학부 정해명 교수의 논문이 지구과학분야의 저명한 국제 SCI저널 「Tecotonophysics」에서 선정한 피인용지수가 가장 높은 50개의 저널(Top-50 most cited article) 중 하나로 뽑혔다. 「Tecotonophysics」저널은 지난 5년간 (2005년~2010년) 출판된 논문을 대상으로 Top-50 most cited article을 선정하였으며, 정해명 교수의 논문인 'Effect of water and stress on the lattice-preferred orie...

뇌인지과학과 강봉균 교수, 만성통증 매커니즘 규명해 사이언스 지에 발표
뇌인지과학과 강봉균 교수, 만성통증 매커니즘 규명해 사이언스 지에 발표 서울대 기억제어연구단 강봉균 교수팀이 만성질환인 신경병증성 통증의 발병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발견해 과학저널 사이언스지에 3일 발표했다. 강봉균 교수신경병증성 통증은 신경계가 이상을 일으켜 발생하는 만성 통증을 말한다. 칼에 베이거나 골절되지 않아도 고통이 심해 일상생활이 불가능하다. 일반 진통제로는 조절이 되지 않고 치료법도 없었으나 발병 메커니즘의 발견으로 치료제 개발에도 청신호가 켜지게 됐다. 연구단은 뇌 전두엽 중앙에 있는 전대상피질에서 분비되는 인산화효소(PKM 제타)가 신경병증성 통증...

식물생산과학부 이석하 교수, 한국 야생콩 전체 유전체염기서열 해독
식물생산과학부 이석하 교수, 한국 야생콩 전체 유전체염기서열 해독 콩의 원산지로 알려진 우리나라의 토종 야생콩 전체유전체 염기서열이 세계 처음으로 결정되었다.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생산과학부 이석하 교수는 테라젠이텍스㈜ 박종화 박사팀과 공동연구를 통하여 한국토종 야생콩 유전체 순서를 모두 해독하여 미국 유명 학술잡지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USA (PNAS) 인터넷판에 11월 22일자로 게재하였다. 이번 연구는 농촌진흥청 바이오그린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연구 논문 결과의 중요성이 인정되...

의대 김정훈 교수 연구팀, 선천성 백내장 등 치료기술 개발 가능성 열어
의대 김정훈 교수 연구팀, 선천성 백내장 등 치료기술 개발 가능성 열어 지름 2.4㎝ 정도 둥근 공 모양의 눈은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내부가 겔 상태의 투명한 물질인 `유리체'로 채워져 있다. 이 유리체의 혈관 퇴행에 이상이 생기면 소아 실명의 주된 원인 중 하나인 선천성 백내장이나 일차유리체증식증 등 희귀질환을 앓게 된다. 의대 김정훈 교수는 유영석 교수, 약대 김규원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세포가 스스로를 먹어치우는 세포자식증이 유리체혈관 퇴행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김정훈 교수는 이에 앞서 지난해 세포가 스스로 죽는 세포자살이 유리체혈관 퇴행...

국내연구진 류인균 교수, 김지은 박사, 문제의 뇌부위 세계 최초 확인
국내연구진 류인균 교수, 김지은 박사, 문제의 뇌부위 세계 최초 확인 미국의 어린이 110명 가운데 한 명은 자폐증을 앓고 있을 정도로 자폐증은 의외로 흔한 질병이다. 자폐아를 둔 부모는 자신의 감정 표현에 거의 반응하지 않는 아이를 보며 힘들어한다. 하지만 그보다 더 고통스러운 것은 아직 이렇다 할 치료법이 없다는 점이다. 자폐증은 뇌의 정보처리 과정에 문제가 생긴 결과라는 것은 확실하다. 하지만 뇌의 어떤 부위에 문제가 생긴 것인지는 지금껏 확인되지 않았다. 국내 연구진이 최근 이를 확인했다. 자폐증과 관련이 있는 뇌 부위를 세계 최초로 확인한 것이다. 정신과 류...

물리천문학부 이규철 교수, 저비용 고효율 LED 개발
물리천문학부 이규철 교수, 저비용 고효율 LED 개발 물리천문학부 이규철 교수가 그래핀 흑연층 위에 반도체 박막을 제조, 원하는 기판에 마음대로 붙여 사용할 수 있는 저비용 고효율의 발광소재(LED)를 개발했다. 2차원 탄소화합물인 그래핀은 지금보다 수백배 빠른 반도체를 만들 수 있는 차세대 전자소재로 '꿈의 신소재'라고 불린다. 한편 LED는 전력소모가 적고 수명이 길어 휴대폰,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품질이 뛰어난 LED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단결정 기판은 가격이 비싸고 발광면적이 좁다. 이 때문에 과학계에서는 유리, 플라스틱 등 ...

박상철 교수, 한센병 치료제로 한센병 환자의 ‘수명’도 늘린다
박상철 교수, 한센병 치료제로 한센병 환자의 ‘수명’도 늘린다 한센병 환자의 치료제가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박상철 교수 연구팀은 한센병을 치료하는 데 쓰이는 ‘디디에스’(다이아미노다이페닐설폰)라는 약물이 활성산소 발생을 억제해 수명을 연장시킨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국립소록도병원과 한국한센협회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한센환자들의 수명이 지난 20년 동안 일반인보다 높아, 남성 환자의 경우 일반인보다 7년이 더 길었다. 또 65살 이상 대비 85살 이상 인구비인 장수도가 일반 장수지역은 8~9인 데 비해 한센 환자군은 20에 이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