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바이러스 점핑유전자에 의한 인류 진화 기전 규명
생명과학부 안광석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안광석 교수 연구팀은 L1이 어떻게 유인원 유전체 내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게 되었는지를 규명하였다.

꿈의 소재 그래핀양자점을 이용한 불치의 소아치매 치료제 가능성 제시
수의대 강경선 교수 연구팀
수의대 강견선 교수 연구팀이 그래핀과 그 유도체들을 나노 약물로 의학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노력 끝에 희귀 퇴행성 뇌질환에서의 치료 효과를 처음 밝혀냈다.

쉽고 효과적인 미세 먼지 저감 기술 찾았다
화학생물공학부 김도희 교수 연구팀
미세 먼지의 원인으로 꼽히는 환경 오염 물질인 질소 산화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원천 기술이 서울대 공대 화학생물공학부 김도희 교수팀에 의해 개발됐다.

‘탄소중립’ 가능케 할 미생물 기반 단백질 고품질 생산 시스템 개발
화학생물공학부 서상우 교수 연구팀
공과대 화학생물공학부 서상우 교수 연구팀이 미생물 기반 단백질 고품질 생산 유전자 발현 시스템 설계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

위성 분석을 통한 대도시 온실가스와 대기 오염도 관련성 처음으로 밝혀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 공동연구팀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가 온실가스 관측 인공위성을 사용하여 북반구 도시의 온실가스 배출 패턴 및 배출 특성 평가의 표준화기법을 개발하였다.

비브리오균의 과당 수송 유전자 전사조절기전 규명
생명과학부 석영재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석영재 교수 연구팀에 의해 고위험 병원균인 비브리오 콜레라균의 과당 (fructose) 수송 유전자 전사조절기전이 규명되었다.

물질 성장의 신호탄, 결정핵의 탄생 순간 세계 최초 관찰
화학생물공학부 박정원 교수 연구팀
화학생물공학부 박정원 교수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핵생성 과정을 원자 수준에서 직접 관찰하는데 성공했다.

유연 기판 위 그래핀 미세 패턴 구현 성공
재료공학부 장호원 교수 연구팀
재료공학부 장호원 교수 연구팀이 사람이 착용하거나 접어 사용할 수 있는 차세대 기능성 전자 소자 연구를 크게 진척시킬 기술을 개발했다.

치매에서 보이는 타우병증의 새로운 기전 규명
생명과학부 정용근 교수 연구팀
치매에서 타우병리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세포막 수용체 단백질인 ALK를 발굴하고 그 기전을 규명하였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로 이산화탄소를 유용 원료로 바꾼다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 연구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 연구팀이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반도체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해 이산화탄소를 유용한 유기물질로 전환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