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3차원 나노 프린팅 개발, 산업 제조 기술 혁신 기대
기계공학부 최만수 교수 연구팀
기계공학부 최만수 교수 연구팀은 100나노미터 수준의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3차원 나노 프린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내가 그린 그림이 3차원으로 변한다? 펜으로 그리는 4D 프린팅 기술 개발
전기∙정보공학부 권성훈 교수 연구팀
전기∙정보공학부 권성훈 교수 연구팀은 펜으로 그린 그림을 3차원 입체 구조물로 변환하는 4D 프린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VR 디스플레이, 선글라스만큼 얇아진다
전기∙정보공학부 이병호 교수 연구팀
전기∙정보공학부 이병호 교수 연구팀은 커다란 헤드셋 형태인 VR 장치의 크기를 대폭 줄일 수 있는 새로운 VR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중국 전 지역 차 생산량과 온도변화 관련성 규명을 통한 미래 기후변화 피해 전망 첫 제시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 연구팀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 연구팀은 중국 내 차 생산량 자료와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극단적인 온도 변화(고온, 저온)와 차(茶) 생산량의 관계를 처음으로 밝혔다.

정밀 게놈 지도가 보여주는 염색체 진화 현장
생명과학부 이준호 교수 연구팀
생물 종마다 고유한 염색체의 수와 모양을 가지는데, 이는 생물의 진화 과정을 밀접하게 반영하고 있다. 이런 진화 과정을 생명과학부 이준호 교수 연구팀이 자세하게 밝혔다.

염색체 구조 제어를 통한 항비만 기전 규명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 연구팀은 비만 시 관찰되는 거대 지방세포의 형성을 억제하는 새로운 제어기전을 규명하였다.

빛을 완벽하게 흡수하는 초흡수 현상 최초 구현
물리천문학부 안경원 교수 연구팀
빛을 빠르게 모조리 흡수하는 초흡수 현상이 물리천문학부 안경원 교수 연구팀에 의해 처음으로 구현됐다.

AI 분야 딥 러닝 핵심 소프트웨어 개발
컴퓨터공학부 이재진 교수 연구팀
최근 인공지능(AI)과 빅 데이터 분야는 딥 러닝 기술이 필수인데, 국내 연구진이 이 딥 러닝 기술에 핵심인 딥 러닝 컴파일러 프레임워크 기술을 개발했다.

리튬이차전지 전극을 수소 생산 물 전기분해 촉매로 개발
화학부 임종우 교수 연구팀
화학부 임종우 교수 연구팀은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수소기체를 얻을 수 있는 물 전기분해(수전해) 촉매를 개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