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파이썬 딥러닝 프로그램을 정확하고 빠르게 수행하는 시스템 개발
컴퓨터공학부 전병곤 교수 연구팀
컴퓨터공학부 전병곤 교수 연구팀은 모든 딥러닝 프로그램을 수정 없이 더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Terra’를 개발하였다고 밝혔다.

RNA와 단백질의 접촉 부위를 질량분석으로 찾아낸다
생명과학부 김종서 ·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김종서 ·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은 사람 세포 내 단백질 상에서 RNA와 결합을 형성하는 ‘RNA 결합자리’를 RNA 염기 종류에 따라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는 질량분석 기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한글을 더 바르게 구사하는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셋 발표
전기정보공학부 윤성로 교수 연구팀
전기정보공학부 윤성로 교수팀이 한글날을 맞아 한국어 언어 모델의 사회적 편향(social bias) 진단을 위한 데이터셋 K-StereoSet을 공개했다.

부호가 다른 이차원 자기 홀극의 발견 및 제어
물리천문학부 김창영 · 양범정 교수 연구팀
물리천문학부 김창영 · 양범정 교수 연구팀은 이차원 극초박막 강자성 물질에서 부호가 다른 자기 홀극의 발견 및 제어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다양한 환경과 작업에서도 정확하게 손동작을 추적하는 VIST(visual-inertial skeleton tracking) 기술 개발
기계공학부 이동준 교수 연구팀
기계공학부 이동준 교수 연구팀은 강건하고 정확한 손동작 추적기술인 VIST(visual-inertial skeleton tracking)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종이접기 하듯, 자유자재로 접을 수 있는 QLED 개발
화학생물공학부 김대형 교수, 현택환 석좌교수 공동연구팀
화학생물공학부 김대형 교수, 현택환 석좌교수 공동연구팀은 종이처럼 자유자재로 접을 수 있는 3차원 양자점발광다이오드(QLED)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바이러스 및 단백질의 고속고효율 이미징이 가능한 그래핀 기반 디바이스 개발
화학생물공학부 박정원 교수-생명과학부 노성훈 교수 공동 연구팀
박정원ㆍ노성훈 교수 공동 연구팀은 초저온 투과전자현미경을 통해 바이러스와 단백질의 바이오 물질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그래핀 기반 디바이스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문어다리와 관절구조 사이를 자유롭게 변환하는 기술 개발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팀은 소재의 상태를 문어와 같은 부드러운 상태에서 척추동물의 관절과 같은 형태로 자유롭게 변환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생체 내 조직 특이적 분비 단백질 표지 기법 개발
화학부 이현우 교수-생명과학부 김종서 교수 공동 연구팀
화학부 이현우 교수, 생명과학부 김종서 교수 공동 연구팀은 생체 내 조직 특이적 분비 단백질 표지 기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