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인공진화기술을 이용한 탄소 중립형 바이오화학제품 생산용 고효율 미생물세포공장 원천 기술 개발
화학생물공학부 서상우 교수 연구팀
화학생물공학부 서상우 교수 연구팀의 공동연구로 탄소중립형 고부가가치 바이오화학제품 생산용 세포공장 최적화 원천 기술이 개발됐다.

마이크로RNA 타겟팅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RNA-결합 단백질들의 새로운 기능 발견
생명과학부 백대현 교수-농생명공학부 신찬석 교수 연구팀
1,500개에 이르는 대부분의 RNA-결합 단백질들이 마이크로RNA에 의한 유전자 발현 억제 과정인 마이크로RNA 타겟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다.

실시간 은폐를 위한 생체모방 인공 카멜레온 스킨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은 온도 감응형 액정잉크와 은나노와이어 히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은폐가 가능한 인공 카멜레온 스킨을 개발하였다고 밝혔다.

자성 반데르발스 물질에서 새로운 양자상태 발견
물리천문학부 박제근 교수 연구팀
물리천문학부 박제근 교수 연구팀은 자성 반데르발스 반강자성체에서 새로운 양자상태인 반강자성 금속 상태를 세계 최초로 실험적으로 관측했다고 밝혔다.

단일 금 나노입자의 국부 표면 플라즈몬 공명 특성을 나노스케일로 측정할 수 있는 신분석 기술 개발
신소재공동연구소 박경수 교수 연구팀
신소재공동연구소 박경수 교수팀은 플라즈몬 공명 에너지(파장) 및 공간 분포특성을 나노 스케일 단위로 시각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공포 기억 소거 메커니즘 규명
생명과학부 강봉균 교수 연구팀
강봉균 교수 연구팀이 기억을 저장하는 시냅스를 표지할 수 있는 Dual-eGRASP라는 기술을 이용하여, 기억의 소거로 인한 신경세포의 물리적인 변화를 밝혀냈다.

머신러닝 파이프라인을 인공신경망으로 변환하는 기술 개발
컴퓨터공학부 전병곤 교수 연구팀
컴퓨터공학부 전병곤 교수팀이 전통적 머신러닝 파이프라인을 신경망으로 변환해 최적화하는 프레임워크인 WindTunnel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세계 최고 효율의 열전 신소재 개발, 버려지는 열을 활용한 친환경 발전
화학생물공학부 정인 교수 연구팀
화학생물공학부 정인 교수팀이 고가의 원소를 포함하지 않아도 세계 최고 발전 효율을 갖는 열전 신소재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소리로 장비 상태를 알아내는 제조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기계공학부 안성훈 교수 연구팀
기계공학부 안성훈 교수팀이 소리로 여러 대의 장비 상태를 실시간으로 동시에 알아내는 제조공정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