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극저온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비만 관련 세포막 단백질 구조 규명
생명과학부 최희정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최희정 교수 연구진은 비만 치료제의 표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뉴로펩타이드 Y1 수용체의 극저온전자현미경 구조를 최초로 규명하였다고 밝혔다.

대장암 오가노이드를 사용한 단일 종양유래 분자 이질성 및 항암제 반응성 예측
의학과 구자록·정승용 교수 연구팀
의학과 구자록·정승용 교수 연구팀이 대장암은 유전체뿐만 아니라 전사체 단계에서도 매우 이질적임을 밝혀내었다.

젊은 성인시기의 비만이 위암의 발생위험 증가시켜
의과대학 강대희 교수 연구팀
의과대학 강대희 교수 연구팀은 35세의 젊은 성인 시기에서의 비만과 향후 위암 발생위험의 연관성이 유의하게 나타난다는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제 장기 대장암 생존자도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 추정 가능해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 연구팀
가정의학과 박상민 교수 연구팀은 장기 대장암생존자들의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고 밝혔다.

Lipid nanoparticle 기반 유전자가위 mRNA 혈우병 치료제 연구결과 발표
국제농업기술대학원 염수청 교수 공동연구팀
국제농업기술대학원 염수청 교수 공동연구팀 혈우병 치료 타겟 유전자인 안티트롬빈을 효율적이고 장기적으로 조절하여 혈우병을 치료할 수 있는 연구결과를 제시했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단핵구에서 아연의 염증반응조절 기전 규명
의과대학 이원우 교수 연구팀
의과대학 이원우 교수 연구팀은 염증반응을 강화하는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만성염증질환 환자의 면역반응 제어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

유혹의 향기로 잣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솔알락명나방 잡는다
농림생물자원학부 박일권 교수 연구팀
농림생물자원학부 박일권 교수 연구팀은 멸종위기 구상나무 구과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솔알락명나방의 성페로몬 구조 규명 및 인공 합성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남극 빙붕의 자기 방어 기작 세계 최초 발견
지구환경과학부 남성현 교수팀
지구환경과학부 남성현 교수 공동 연구팀은 남극 빙붕 자기 방어 기작에 대한 세계 최초 연구 결과를 학술저널 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하였다.

한국 토종 식물 백수오의 유전체 구조 및 다양성에 대한 연구 결과 국제학술지 게재
농업생명과학대학 양태진 교수 연구팀
농림생물자원학부 양태진 교수팀은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백수오의 유전체 구조 특징 및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