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눈 움직임과 인지행동 컴퓨터 모델링을 통한 ‘주의집중 3요소’의 뇌 인지기능 규명
생명과학부 김형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김형 교수 연구팀이 뇌 기능 연구와 인지장애 진단을 위한 눈 움직임 분석 기반 인지기억행동 패러다임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빠르고 정확한 유전체 희귀변이 연관성 분석 방법 개발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이승근 교수 연구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이승근 교수 연구팀이 바이오뱅크의 대규모 시퀀싱 데이터에서 희귀유전자 분석을 가능케 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신체활동과 관련된 유전적 배경의 발견 및 질병 예방
통계학과 박태성 교수 연구팀
통계학과 박태성 교수 국제 공동 연구팀이 능동적 혹은 수동적 신체 활동과 관련된 DNA 영역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차세대 반도체 소재 이황화몰리브덴의 전자 이동도를 극대화하는 도핑 방법 제시
물리천문학부 이탁희 교수 연구팀
물리천문학부 이탁희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반도체 소재로 각광을 받고 있는 이황화몰리브덴의 전자 이동도를 극대화하는 방법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한국의 인공태양 KSTAR 꿈 앞당긴다
원자핵공학과 나용수 교수 연구팀
원자핵공학과 나용수 교수 연구팀은 한국의 인공태양이라 불리는 KSTAR에서 1억도 초고온, 고성능 플라즈마를 얻는 새로운 운전 방법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간유래 TM4SF5-탑재 소포체의 혈중 포도당 항상성 유지 기능 규명
약학대학 이정원 교수 연구팀
약학대학 이정원 교수 연구팀은 세포 혹은 생쥐 실험동물 모델에서 간세포 유래 소포체(엑소좀)을 분리,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치매 위험성을 낮추려면 두통 가볍게 생각말아야
치의학대학원 박지운·조현재 교수 공동연구팀
치의학대학원 박지운·조현재 교수 공동연구팀은 두통 유형에 관계없이 두통이 있는 경우 모든 유형의 치매에 대한 위험이 유의하게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고 밝혔다.

비브리오 패혈증균의 적혈구를 매개한 혈전생성 원인 세계 최초 규명을 통한 새로운 치료방안 제시
농생명공학부 최상호 교수 연구팀
농생명공학부 최상호 교수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패혈증 비브리오균에 의한 정맥혈전증의 발생원인과 유해인자를 규명했다고 밝혔다.

피로도 저감 위한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시각인지요소 규명
전기정보공학부 이병호 교수 연구팀
전기정보공학부 이병호 교수 연구팀은 3차원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볼 때 초점 조절 반응이 제한되는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고 밝혔다.

퇴행성관절염 진행도 예측하는 길 열렸다
의대 정형외과 강승백 교수 연구팀
의대 정형외과 강승백 교수 연구팀은 퇴행성관절염의 진행 정도를 알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임상에 활용할 수 있는 조기 진단법과 질병 진행 정도에 따른 치료법 개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