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원편광 감지용 ‘나선형 고분자 반도체’ 개발
화학생물공학부 오준학 교수 연구팀
화학생물공학부 오준학 교수팀이 원편광의 선택적 감지가 가능한 고분자 반도체 기반 나선형 초분자체 제작과 이를 활용한 고성능 원편광 감지 및 이미징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바다·호수·강에서 물 위 둥둥 뜨는 촉매로 그린수소 대량 생산 한다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석좌교수, 김대형 교수 공동연구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석좌교수, 김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세계 최고 수준의 그린수소 생산 성능을 갖춘 물에 뜨는 광(光)촉매 플랫폼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밝혔다.

오류에 높은 내성을 가진 광자 양자컴퓨팅 방법 개발
물리천문학부 정현석 교수 연구팀
물리천문학부 정현석 교수 연구팀이 다광자 얽힘 인코딩에 기반한 오류 정정을 통해 적은 자원으로도 높은 오류율에 내성을 가지는 양자컴퓨팅 방법을 고안하였고 밝혔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마스크의 역설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 연구팀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 연구팀이 마스크 및 위생용품의 사용 증가가 대기 중 미세플라스틱 증가에 기여함을 밝혀냈다고 밝혔다.

순백의 발광체: 아주 작은 분자 하나가 두 개의 빛으로 완벽한 백색광을 만들다
화학부 이동환 교수 연구팀
화학부 이동환 교수 연구팀은 하나의 벤젠 고리로 이뤄진 아주 작은 백색광 발광체를 발명했다고 밝혔다.

착한 콜레스테롤이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 연구팀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 연구팀이 HDL 증가 수준에 따라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15% 더 높아진다고 밝혔다.

전고체 배터리의 안정성 및 성능을 개선한 차세대 핵심기술 개발
화학부 임종우 교수 연구팀
화학부 임종우 교수 연구팀은 실리콘 분말 전극이 아닌 반도체에서 사용하는 실리콘 웨이퍼를 전고체 배터리 전극으로 하여 안정적인 구동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테라-루나(Terra-LUNA) 사태와 디지털 자산 시장에 대한 연결성 분석
산업공학과 이재욱 교수 공동 연구팀
산업공학과 이재욱 교수 공동 연구팀이 테라-루나 폭락 사태가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있어 가격, 변동성, 투자자 관심도 등 여러 방면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만들어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소뇌가 공포기억을 조절하는 신경회로 규명
의과대 이용석 교수, 김상정 교수 공동연구팀
의과대 이용석ㆍ김상정 교수 공동연구팀이 소뇌에서 뇌간의 외측 팔곁핵(parabrachial nucleus)으로 연결된 신경회로의 활성이 공포 기억 재생에 필수적임을 새롭게 발견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