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핵융합 플라즈마에서 스스로 발생 가능한 신규 플라즈마 전류 발견
원자핵공학과 나용수 교수 연구팀
원자핵공학과 나용수 교수 연구팀이 한국의 인공태양인 KSTAR 장치에서의 실험을 통해 핵융합 플라즈마에서 스스로 발생 가능한 새로운 전류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성상교세포에 의한 불안장애 조절 기전 규명
치의학대학원 이성중 교수 연구팀
치의학대학원 이성중 교수 연구팀이 뇌의 또 다른 세포인 성상교세포가 불안 행동을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식생 스트레스 조기탐지 시스템 개발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류영렬 교수 연구팀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류영렬 교수 연구팀이 분광 필터 및 포토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태양 유도 엽록소 형광 물질(SIF)을 간단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탐지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진균 분류를 위한 핵심 유전자 데이터베이스 및 파이프라인 개발
생명과학부 마틴 스타이네거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마틴 스타이네거 교수 연구팀이 대규모 생물정보학적 분석으로 진균의 핵심 유전자 61종을 발굴하고,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공개했다고 밝혔다.

만성신장질환용 프로바이오틱스 개발 및 기전 규명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김효진 교수 연구팀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김효진 교수 공동연구팀이 만성신장질환용 프로바이오틱스를 개발하고 그 기전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한국 바이오뱅크 데이터 대규모 유전체 분석 및 한국인에 존재하는 새로운 표현형-연관 유전자 발견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이승근 교수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이승근 교수팀이 한국의 바이오뱅크인 KoGES의 72,000여명의 유전체 및 표현형 데이터를 통해 76개의 표현형에 대한 전장 유전체 연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고 밝혔다.

DNA 상분리를 이용한 분자연산 가속화 플랫폼 개발
기계공학부 신용대, 김도년 교수 공동 연구팀
기계공학부 신용대, 김도년 교수 공동 연구팀이 상분리 현상을 활용해 분자진단 및 DNA 연산 가속화를 위한 핵심 원천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항생제 장기 처방, 치매 위험 높일 수 있어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 연구팀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 연구팀은 치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항생제 장기 사용이 치매 발생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나비 날개를 모사하여 색상 구현 및 복사 냉각이 가능한 기판 개발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공동연구팀은 나비 날개를 모사하여 색상 및 복사 냉각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기판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