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버섯처럼 성장하는 소프트 물질 시스템 개발
기계공학부 김호영 교수-재료공학부 선정윤 교수 공동연구팀
살아있는 생물처럼, 성장하면서 주변 환경을 스스로 인지하여 성장 방향을 바꾸는 인공 물질 시스템이 보고되었다.

식물 스트레스 실시간 감지하는 나노센서 개발
농림생물자원학부 곽선영 교수 연구팀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바이오소재공학 전공 곽선영 교수와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정대홍 교수 융합연구팀은 나노입자의 플라즈몬 특성을 활용하여 식물이 느끼는 다양한 스트레스 신호를 실시간으로 읽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였다.

초저온전자현미경으로 단백질 접힘 과정을 시각화
생명과학부 노성훈 교수 연구팀
잘못된 단백질의 입체구조는 노화와 다양한 질병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 이에 단백질이 정확한 입체구조를 형성하는 단백질 접힘 과정에 대한 분자 수준의 이해가 필요함.

추운 환경에서 갈색지방 태우는 기전 규명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 연구팀
체온유지를 위해 갈색지방조직은 열을 생산한다. 이를 위해 갈색지방조직은 에너지원의 소비를 필요로 하는데, 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 태아별에서 생명의 기원이 되는 물질 발견
물리천문학부 이정은 교수 연구팀
우리 태양계와 비슷한 별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생명의 기원이 되는 유기분자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진화하여 행성에 포함되는지 이해함으로써 태양계와 지구 생명 탄생의 기원을 탐구한다.

유전자 발현 조절을 모델링하는 인공지능 기술 개발
컴퓨터공학부 김선 교수 연구팀
컴퓨터공학부 김선 교수 공동 연구팀이 DNA의 3차원 접힘 정보를 이용하여 전사 조절을 모델링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고형암의 면역세포치료에 핵심적인 킬러 T-세포 탈진 억제 및 탈진 T-세포 소생기술 제시
생명과학부 성노현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성노현 교수 연구팀이 암조직 내에서 CD8 T세포의 탈진과정을 억제하고, 이들 세포의 암세포 사멸 능력을 높여주며, 이미 탈진된 CD8 T세포를 재활성화 시킬 수 있는 유전자를 최초로 규명하였다고 밝혔다.

세계 최대 규모의 미생물 수평 유전자 이동 현상 데이터베이스 구축
농생명공학부 김희발 교수 연구팀
농업생명과학대학 김희발 교수 공동 연구팀이 미생물의 수평적 유전자 이동 정보 데이터베이스인 HGTree v2.0를 최근 발표했다.

새로운 반응 기전을 통해 당을 분해하는 금속-가수분해효소의 설계
화학부 송윤주 교수 연구팀
화학부 송윤주 교수 연구팀이 단백질의 서열 재설계와 효과적인 유도진화법을 적용하여 특정 입체특이성을 가진 당 분자와의 선택적이고 높은 반응성을 보이는 인공 금속효소를 만들어 내는 데 성공하였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