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새로운 진화 경로 규명
농생명공학부 강창구 교수팀
동물들이 가진 화려한 경고색의 초기 진화는 오래된 진화적 난제 중 하나로, 위장색을 가진 조상에서 경고색을 가진 개체로의 변화가 어떠한 방식으로 이뤄져 왔는지는 다양한 이론이 혼재되어 있으나, 실제 생명체에서의 증거는 없었음.

기능성 모유 올리고당인 2ʹ-fucosyllactose는 유당(lactose)보다 열에 안정하다.
국제농업기술대학원 정동화 교수 연구팀
국제농업기술대학원 정동화 교수 연구팀은 멀티 기능성으로 각광받는 모유 올리고당인 2’-FL이 갖는 고유의 열특성을 최초로 분석하여 2’-FL의 상용화에 필수적인 물질 소재특성 정보를 체계화하는데 기여했다고 밝혔다.

장내미생물에 의한 신경병증성 통증 조절
치의학대학원 이성중 교수, 보건대학원 고광표 교수 공동연구팀
신경병증성 통증 (neuropathic pain)은 신경계의 손상이나 기능 이상으로 생기는 통증으로, 교통사고, 수술 등으로 인한 신경손상, 당뇨성 신경궤사, 바이러스성 신경감염 등, 다양한 원인을 통해 신경병증성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3차 접종 후 BA.1/2 감염자, BA.4/5에 대해 4차 접종 비감염자와 비슷한 수준의 면역반응 갖추고 있어
의과대학 김항래 교수, 오명돈 교수, 신현무 교수, 이창한 교수 공동연구팀
의과대학 공동연구팀이 오미크론 하위 변이 BA.1/2에 감염되었던 3차 접종자들이 이미 4차 접종 비감염자에 준하는 정도의 BA.4/5에 대한 면역반응을 갖고 있으며, 이들에게는 4차 접종이 시급하지 않을 수 있음을 밝혀냈다.

푸드 업사이클링: 산양삼 부산물과 발효 공정으로 고부가가치 소재 개발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김도만 교수 연구팀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김도만 교수 연구팀이 산양삼 뿌리 뿐만 아니라 부산물로 버려지는 산양삼 잎에도 소재로서의 산업적 가치가 있으며, 이러한 가치는 발효 공정을 통해 향상될 수 있음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개 파보바이러스 감염 예방 천연물 소재 개발 연구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김도만, 농생명공학부 강동현 교수 공동연구팀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김도만, 농생명공학부 강동현 교수 공동연구팀은 개 파보바이러스가 감염 세포 내에서 복제하는 것을 억제하는 천연물 성분들을 확인하였고, 이런 광범위한 천연물 성분의 건강 관련 잇점은 복합적인 질병 예방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콜레스테롤의 오랜 노화 유발 수수께끼, 드디어 풀렸다! 새로운 노화 치료제 개발 돌파구
생명과학부 강찬희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강찬희 교수 연구팀이 ABCA1 표적 약물을 통한 리소좀 내 콜레스테롤 축적의 제어가 노화 연관 염증 반응과 세포 노화를 억제함으로써 대표적인 노화 연관 질환 중 하나인 퇴행성관절염의 증상을 크게 완화할 수 있음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밝혔다.

금속효소 내부에 숨겨진 소수성 아미노산의 역할 규명
화학부 송윤주 교수 연구팀
화학부 송윤주 교수 연구팀은 금속효소의 실험실 내 유도진화를 통해, 효소가 새로운 금속 이온에 맞도록 서열을 변형시켰으며, 그 결과 기존에 별다른 역할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소수성 아미노산 네트워크가 효소 반응성 조절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하였고 밝혔다.

빛을 이용해 방향족 알코올을 합성하는 효소 개발
화학부 송윤주 교수 연구팀
화학부 송윤주 교수 연구팀이 무한대에 가까운 단백질 서열의 조합과 두 촉매 사이의 협동 효과를 통한 인공 생촉매의 발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RNA 유전자 치료제 개발 새 가능성 열었다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팀
생명과학부 석좌교수 김빛내리 교수 연구팀이 마이크로RNA 생성과 RNA 치료제에 중요한 ‘다이서(DICER) 단백질’의 핵심 작동 원리를 밝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