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다둥이 별의 탄생 비밀을 풀기 위한 ALMA 관측과 슈퍼컴퓨터 시뮬레이션의 콜라보
물리천문학부 이정은 교수 연구팀
물리천문학부 이정은 교수 연구팀은 세 개의 태아별이 함께 태어나고 있는 다중 원시항성계 IRAS 04239+2436을 아타카마 대형 밀리미터/서브밀리미터 간섭계(ALMA)로 관측하여 태아별들 주위에서 세 개의 큰 나선 팔이 존재하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국내 연구진, 실시간 나노 화학 이미징으로 인산철 배터리의 고속 방전에서의 효율저하 원인 규명
화학부 임종우 교수 연구팀
화학부 임종우 교수 연구팀이 방사광 가속기 기반 실시간 X선 현미경을 이용하여 ~1um 크기의 인산철 배터리 입자 표면/내부에서 충·방전 중 시시각각 변화하는 리튬이온의 분포와 입자 내에 흐른 전류밀도를 나노미터 단위에서 전 세계 최초로 관측해 냈다고 밝혔다.

차세대 정지궤도 위성을 이용하여 폭염에 따른 생태계 광합성 일주변동 변화를 탐지하다
농업생명과학대학 류영렬 교수 연구팀
농업생명과학대학 류영렬 교수 연구팀이 정지궤도 위성을 활용해 위성기반 광합성량의 시공간 스케일을 극적으로 향상하였으며, 현장 타워 네트워크 자료와 비교해 높은 정확도를 확인하였다고 밝혔다.

농축산 자원에서 혐기성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을 찾다
농생명공학부 김영훈 교수 연구팀
농생명공학부 김영훈 교수 연구팀이 폴리스타이렌 계열의 플라스틱과 미세플라스틱을 무산소 조건에서 생분해할 수 있는 박테리아인 엔테로박터 호마에체이 LG3 균주를 밀웜 장관에서 발견했다고 밝혔다.

스트레스에 의한 기억력 저하 원인 규명
수의과대학 한호재 교수 연구팀
수의과대학 한호재 교수 연구팀은 고농도 당질코르티코이드 환경에서 γ-secretase의 효소 활성이 미토콘드리아에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PSEN1의 MAM으로의 이동이 미토콘드리아 내 아밀로이드 베타 축적을 촉진 시킴을 규명하였다고 밝혔다.

COVID-19 단백질 분해할 수 있는 기전 발견
화학부 이현우 교수 공동연구팀
화학부 이현우 교수 공동연구팀이 사람의 세포 내에서 RNF5 단백질이 COVID-19 바이러스 단백질을 분해하는 기능을 갖고 있음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위기 속에 살아남기: 서로 다른 운명을 개척한 세포들
생명과학부 이준호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이준호 교수 연구팀은 포유류 세포 모델 최초로 두 가지 유형의 대안적 텔로미어 유지 기전을 확립하고 최첨단 생물학 기법으로 비교 분석하여 특성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카고메 격자 구조를 가진 Cs(V1-xTix)3Sb5 신초전도체에서 네마틱 양자 임계점 발견
물리천문학부 김기훈 교수 연구팀
물리천문학부 김기훈 교수 연구팀이 Cs(V1-xTix)3Sb5의 x = ~0.009 지점에서 네마틱 양자 임계점이 존재함을 세계 최초로 발견하였다고 밝혔다.

파킨슨병의 원인인 알파-시누클린 응집체를 분해하는 표적분해 원천기술 개발
의과대학 권용태 교수 연구팀
의과대학 권용태 교수 연구팀은 오토파지 기반 단백질 표적분해기술인 AUTOTAC를 개발하였고, 이 기술을 이용해서 파킨슨병 등 다양한 퇴행성뇌질환에 대한 원인 치료제 개발을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