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마크로파지 세포치료제의 새로운 시대
의과대학 석승혁 교수 연구팀
의과대학 석승혁 교수ㆍ나이랑 교수 공동연구팀은 마크로파지 세포치료제의 현황과 유용성 및 장단점을 기술하고, 오랜 기간 선천면역을 연구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질환에서 사용될 수 있는 마크로파지 세포치료제의 미래 전망에 대한 의견을 본 종설에서 피력하였다.

유전적 거리 기반 방식을 이용한 친족관계 분석방법 특허등록
의과대학 이숭덕 교수 연구팀
의과대학 이숭덕 교수 연구팀은 기존에 진행해 오던 부(모)-자관계, 형제-자매 관계 확인 등을 넘어 최대 8촌까지의 유전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 방법을 구축하였다고 밝혔다.

식물 유전체 3차원 구조의 기본 폴딩 단위 규명
화학부 서필준 교수 연구팀
화학부 서필준 교수 연구팀이 식물 모델을 이용하여 3차원 유전체 기본 구조가 개별 유전자 단위에서 형성되고 있음을 밝혀냈다.

까마중 (Solanum americanum) 유전체 기반 감자 역병균 Effector를 인식하는 면역수용체 선발
농생명공학부 손기훈 교수팀
농생명공학부 손기훈 교수팀이 세 개의 새로운 NLR 면역수용체와 이들이 인식하는 감자 역병균의 Effector를 선발하여 미래에 역병 저항성 식물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기초가 되는 연구 결과를 얻게 되었다고 밝혔다.

알츠하이머 치매의 새로운 발병 기전 규명
의과대학 이민재, 서영호, 이용석 교수 공동연구팀
의과대학 연구팀이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병인 단백질인‘타우’에 의한 신경독성 물질 형성 원리와 이를 바탕으로 하는 신규 알츠하이머병 발생 기전을 규명하였다고 밝혔다.

리튬 이차전지 저장수명 연장 전략 제시
화학부 임종우 교수 연구팀
화학부 임종우 교수 연구팀이 리튬 이차전지가 충전된 상태로 시간이 흐를 때 “저장퇴화” 되는 수수께끼를 풀어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차전지의 저장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인체 유래 폐 기도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단일세포전사체 연구 발표
의과대학 김종일 교수 연구팀
의과대학 김종일 교수 연구팀이 2023년 인체 유래 폐 기도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단일세포전사체 분석을 통해 최근 각광받고 있는 오가노이드의 줄기세포 분화도 연구와 질병 모델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공간대사체 레이블링 툴인 GEN-Click 개발
화학부 이현우 교수 공동연구팀
화학부 이현우 교수 공동연구팀은 공간대사체를 표지할 수 있는 새로운 근접분자 표지기술인 Gen-Click 반응을 개발하였다고 밝혔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성 경감 효과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 연구팀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 연구팀이 코로나19 백신 접종 받으면 확진되더라도 심뇌혈관질환 위험성 감소한다고 밝혔다.

조직/소동물 시편을 위한 초고분해능 STORM 이미징 버퍼 개척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김정민 교수 연구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 김정민 교수 연구팀이 조직/소동물 시편에서 빛의 산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STORM 이미징 버퍼의 굴절률을 높이는 방안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