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장내미생물로 당뇨병성 인지 장애 치료한다
수의과대학 한호재 교수 연구팀
수의과대학 한호재 교수 연구팀이 장내미생물 대사산물인 뷰티르산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자가포식 기능 회복을 통해 당뇨병성 인지 장애를 예방·완화하는 기전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피부에 붙이는 순간 개인정보가 사라진다!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
기계공학부 고승환 교수 연구팀이 체온에 반응해 사라지거나 나타나는 정보 패턴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CO2 감소실험에서의 중위도 스톰트랙 변화
지구환경과학부 손석우 교수팀
지구환경과학부 손석우 교수 연구팀은 미래 기후 이산화탄소 증가-감소 실험을 통해 중위도 스톰트랙의 이력현상(히스테리시스, Hysteresis)을 최초로 보고했다.

DNA 종이접기 나노구조체의 형상을 1초 이내에 예측할 수 있는 AI 기술 개발
기계공학부 김도년 교수 연구팀
기계공학부 소속 김도년 교수 연구팀이 DNA 종이접기 나노구조체의 형상을 1초 이내에 거의 실시간으로 예측할 수 있는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양돈 산업에서의 다제내성 살모넬라균 제어를 위한 Cornellvirus 속 신생 박테리오파지 SLAM_phiST1N3의 분자유전학적 특성 규명
농생명공학부 김영훈 교수 연구팀
농생명공학부 김영훈 교수 연구팀이 돈육 제품으로 출시되는 전반적인 양돈 생산 과정에서 살모넬라 파지인 SLAM_phiST1N3가 전방위적으로 살모넬라 예방 및 제어에 유의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뇌 내 갑상선 호르몬 결핍, 알츠하이머병의 병리 현상 가속화
의과대학 묵인희 교수 연구팀
의과대학 묵인희 교수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병리와 갑상선 기능 저하증, 특히 뇌 내 갑상선 호르몬 결핍 간의 상호 관계를 최초로 규명하였다고 밝혔다.

신경 시냅스 구성 단백질 상분리 거동 규명
기계공학부 신용대 교수 공동연구팀
기계공학부 신용대 교수 공동연구팀이 억제성 시냅스를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들을 모델로 하여 여러 생체분자로 구성된 상분리 시스템이 어떻게 열역학적으로 조절되고, 나아가 이러한 거동이 어떻게 억제성 시냅스 형성 과정에 기여하는지 규명하였다고 밝혔다.

당뇨치료제와 신규 프로바이오틱스 병용 효과 규명
국제농업기술대학원 허철성 교수팀
제2형 당뇨는 식이습관, 운동 부족, 유전자 결핍 등의 환경적 유전적 요인에 의한 인슐린 민감성 감소로 인하여 혈액 내 포도당 불균형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제2형 당뇨환자의 발병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담낭절제술 후 단기적으로 신체 대사 지표의 향상이 일어나고 장기적인 심뇌혈관질환과의 연관성이 낮아질 수 있다.
의과대학 박상민 교수팀
담낭절제술 환자는 단기적으로 심혈관질환 위험이 상승했는데, 이는 수술 전 환자의 특성 때문일 것이다. 담낭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2년 후 담낭절제술과 심혈관질환의 연관성이 감소하여 대사건강의 개선으로 담낭절제술 후 2년 후에는 담낭절제술 관련 심혈관질환 위험 상승이 개선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