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안내
연구
연구성과
연구성과
연구성과 미리보기

차세대 2차원 반도체 상용화 가능성 높인 반도체 합성 신기술 개발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팀
재료공학부 이관형 교수 공동연구팀이 다양한 기판 위에서 웨이퍼 면적의 단결정(single-crystal) 2차원 반도체를 직접 성장시킬 수 있는 신기술 ‘하이포택시(Hypotaxy)’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게시판

애기장대에서 NPR1 타겟팅 및 전사 연쇄 조절에 대한 유전체 수준 조망
생명과학부 노유선 교수팀
식물에서 병원체 감염의 핵심 신호전달 물질인 살리실산(salicylic acid; SA)에 의해 유도되는 식물세포의 면역 세포화 과정에 대한 유전체 수준 이해가 확보되지 않은 상황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제어용 중화 항체의 특징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여선주 교수,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박현 교수 공동연구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H5아형은 1996년 이후 가금류에서 인체 감염이 출현하여, 최근 2020~2022년에는 H5 2.3.4.4b 하위 계통 신변종 변이주 형태로 전세계에서 인체 감염으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올간칩 기술과 단일세포 RNA 시퀀싱 기술 융합을 기반으로 혈관 신생 시 오토파지의 선택적 제어 기전 규명
기계공학부 전누리 교수 공동 연구팀
전누리 교수 공동 연구진은 올간칩 (organ-on-a-chip) 기술을 바탕으로 3차원 혈관신생 모델 (angiogenesis-on-a-chip)을 도입하여 혈관세포의 이질성을 구현하였고, 3차원으로 배양된 혈관세포에 대해 단일세포 RNA 시퀀싱 (single cell RNA-sequencing)을 진행하였다.

세계 최초로 고효율 탠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 개발에 성공
재료공학부 이태우 교수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는 서울대학교 이태우 교수 연구팀이 금속 할라이드 페로브스카이트와 유기발광 소재를 결합한 고효율 장수명 하이브리드 탠덤 발광 소자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국내 자생 말라리아 모기의 최신 서식지 생태계 특성 분석
의과대학 여선주 교수팀
효과적인 말라리아 퇴치를 위해서는 벡터 모기(Anopheles)를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벡터 모기가 자생하는 환경 생태계를 계속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으나 국내에서는 2007년 이후 자생지 특성에 대한 분석이 미흡한 상황이다.

유역 홍수 모의 시스템을 개발하고 프랙탈 이론 및 신뢰성 분석을 기반으로 미래 홍수 확률을 예측하다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강문성 교수팀
농업용 저수지는 중요 수원으로 기능하며, 국내 대부분 농지에 농업용수를 제공한다. 저수지에서 공급된 용수는 주로 개수로를 통해 농경지에 전해지며, 이때 농경지의 적절한 담수심을 유지하기 위해 배수펌프 및 게이트와 같은 시설이 활용된다.

암 면역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항암 치료 타겟 발굴
의과대학 석승혁 교수팀
단일세포 전사체를 이용하여 초기 종양 성장단계에서 관여하는 마크로파지 매개 미세환경을 다각도로 규명하였으며, 이를 통해 면역억제 환경 조성에 관여하는 핵심 인자를 발굴하였다.

다국적 공동 연구를 통한 미진단 희귀질환 환자에서의 WDR44 유전적 변이-섬모 질환 유발 원인 제시
약학대학 박성규 교수, 의과대학 채종희 교수 공동연구팀
약학대학 박성규 교수, 의과대학 채종희 교수 공동연구팀이 섬모질환 유발 신규유전자 변이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나쁜 지방세포를 제거하는 면역세포 발견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 연구팀
생명과학부 김재범 교수 연구팀이 지방조직 내 존재하는 특정 면역세포들이 나쁜 지방세포의 교체 과정을 매개할 수 있음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밝혔다.

TM4SF5가 매개하는 포도당 분해의 에너지화 과정 조절을 통한 간암세포의 정상화 단서 규명
약학대학 이정원 교수 연구팀
약학대학 이정원 교수 연구팀이 리소좀과 미토콘드리아를 매개하는 단백질로 리소좀 막에 존재하는 TM4SF5 막단백질과 미토콘드리아 외막의 FKBP8 단백질이 서로 결합하여 두 소기관의 접촉을 형성함을 밝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