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M4SF5에 의한 상피-중배엽세포 전이가 세포 다층증식 및 종양 초래
□ 연구자 : 이정원 교수 외 16인
□ 소 속 : 의과대학 의학과 (BK21 의생명과학연구사업단)
□ 내용 및 의의
○ 내용
◇간암 발병과 관련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단백질 (TM4SF5) 확인
- 세포막을 네 번 통과하는 구조를 가진 세포막수용체들 중, 테트라스패닌 그룹의 한 멤버인 TM4SF5가 한국인 간암환자들에게서 과다발현되는 것을 확인(7/9= 77.8%)
ㆍ막수용체 TM4SF5에 의한 발암기전 규명: 세포형태 변화 및 세포-세포간 흡착의 와해를 통해 상피-중배엽세포 전이 및 세포의 다층증식을 유도 확인
- 세포 이동성을 증대할 수 있는 상피-중배엽세포 전이(혹은 분화)의 과정은 암전이 초기과정에서 중요한 단계로 알려져 있음
- 간세포 및 동물실험을 통하여, TM4SF5의 발현이 세포의 형태적 변환과 세포-세포간 흡착의 와해를 유도하여, 궁극적으로 암세포의 전형적 특징 중 하나인 다층증식(multilayer growth)을 초래하는 것으로 확인
○ 의 의
◇ TM4SF5가 상피-중배엽세포 전이를 유발하는 인자로서 다층증식 및 발암에 기여하는 새로운 인자라는 것을 처음으로 규명한 연구로 평가됨
-막수용체 TM4SF5는 세포의 상피-중배엽세포 전이 및 세포 다층증식을 유도하는 인자로서의 기능을 인정받으며, 3월 21일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의 online판에 게재되었다.
1. 연구 배경
정상적인 상피세포는 유전 및 환경적 요인들에 의해, 다양한 돌연변이 및 유전적 불안정을 초래하여, 조절되지 않은 증식능력을 가지는 암세포 덩어리를 이룰 수 있음으로써 우리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 더구나, 1차적 수술의 방법으로 암 덩어리를 제거할 지라도, 다른 장기로 전이를 하여 전이암을 이룸으로써, 예후의 악화 및 재발의 가능성을 높여, 암에 의한 사망의 원인이 되고 있다.
암 덩어리를 이루는 암세포들 중, 세포 이동 및 침윤성이 뛰어난 암세포는 전이 능력이 생기는데, 이러한 암세포들의 성향은, 세포형태, 흡착, 액틴 골격의 재구성에 따른 세포-세포간의 흡착(cell-cell contacts)이 와해로 인하여, 이동성이 증대될 수 있는 중배엽세포 형태(mesenchymal cell type)로의 분화에 의한다.
TM4SF5라는 유전자가 1998년 Muller-Pillasch 등 연구팀에 의해 췌장암등에서 많이 전사되어 존재하고, 암관련 유전자 L6와 아미노산 서열의 동질성이 높아, 암관련 유전자로 추정되었으나 [Muller-Pillasch, F. 등 (1998). Gene 208:25-30], 단백질 수준에서의 발현 확인 등을 포함한 분자적 수준에서 어떻게 암과 관련된 지 추후 연구가 전무하였다.
국내외의 많은 암연구자들에 의해 상피-중배엽세포 전이(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 과정은 암전이 초기 과정의 중요한 단계로 알려져 활발한 연구주제가 되어 왔으며, 그 기능을 억제함으로써 항암제 개발의 시도가 활발히 수행되어 오고 있다.
2. 연구 현황
암관련 유전자로 추정되었으나, TM4SF5의 기능 연구가 전혀 이루어진 바가 없어, TM4SF5가 어떻게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세포막을 네 번 통과하는 구조를 가진 세포막수용체들 중, 테트라스패닌 그룹의 한 멤버인 TM4SF5가 한국인 간암환자들에게서 과다발현되는 것을 확인(7/9= 77.8%)하고, 간세포 및 동물실험을 통하여, TM4SF5의 발현이 세포의 형태 변환과 세포-세포간 흡착이 와해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암세포의 전형적 특징 중 하나인 다층증식(multilayer growth)을 초래하고 동물실험에서 종양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팀은 TM4SF5의 발현을 저하시키거나, 세포-세포간의 흡착을 유지시킴으로써, TM4SF5에 의한 암화 혹은 다층증식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 연구 성과 및 향후 계획
본 연구팀의 이번 연구결과로, 한국인 간암환자들의 암조직에서 높게 발현되는 막수용체 TM4SF5가, 세포의 상피-중배엽세포 전이를 유발하는 인자로서의 그 기능을 처음으로 밝혀졌으며, 그 연구결과가 3월 21일(엠바고 한국시간: 3월 21일 오전 6시),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의 online판에 게재된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부의 세포다이나믹스연구센터(광주과학기술원 우수연구센터) 및 신약타겟발굴연구사업과, 학술진흥재단의 기초과학연구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으며,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하였다.
한편, 경상대 환경생명화학과 박기훈 교수팀과는 공동 연구를 통해, TM4SF5에 의한 다층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대량합성이 가능한 소분자화합물(TSAHC)의 검정에 성공하여, 현재 TM4SF5에 의한 간암 치료제 개발을 위한 전임상 연구를 위한 기업파트너를 물색 중에 있다.
LNB
페이지 안내
서울대 소식 뉴스
보도자료
뉴스
보도자료
의대 이정원 교수, 간암 발병 기전 규명
2008.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