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1일 바우바우시 소라올리오 지역의 한 초등학교에서 이 교과서를 가지고 찌아찌아어 교육을 시작했고, 소라올리오 지역 제6고등학교에서 한국어 교육을 시작하였다.
한글의 공식 문자 채택과 교재 출판에는 훈민정음학회 총무이사를 맡고 있는 언어학과 이호영 교수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번 한글 수출로 우리 민족의 얼과 혼이 담긴 한글 보급으로 국제문화적으로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며, ‘한글 세계화’의 주춧돌을 놓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전에도 외국의 문자 없는 민족에게 문자를 만들어 주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체계적인 교과서를 만들지 않은 채 비공식적으로 한글을 보급하다가 결실을 맺지는 못하였다.
이번에는 현지 지방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아래 초등학교에서 정식 교과목으로 채택되어 한글을 이용한 현지어 교육이 시작되므로 한글이 뿌리내릴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
문자가 있는 민족과 없는 민족의 문화적인 역량은 현격하게 차이가 난다. 문자 없는 민족은 자신의 역사와 문화를 글로 기록하지 못하며, 자신들의 언어를 체계적으로 교육하지도 못하며, 더 큰 문제는 문자 없는 민족은 자신의 언어를 지키지 못하고 자신이 속한 나라의 공용어를 자신의 모국어로 받아들이는 데 있다. 이런 이유로 오늘날 너무도 많은 언어들이 사멸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번 한글 보급을 통해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 정신을 받들어 문자 없는 민족에 문화의 빛을 비춰 주고자 한다. 이 사업이 성공되면 우리 민족의 문화적 자긍심 고양과 국가 브랜드 가치 제고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참고자료
훈민정음학회 설립 목적과 연혁
1. 설립 목적
훈민정음, 즉 한글은 세계의 언어학계에서 그 독창성과 과학성을 인정받은 문자체계이다. 이제 우리 학계에서는 그간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해서 훈민정음에 대한 연구를 더욱 심화하고 한글의 세계화를 위하여 노력을 기울일 때가 왔다.
지금 한국의 언어학계와 국어학계에는 유수한 학회와 학술지가 있지만 아직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는 학술지는 없다. 우리는 15세기에 세계 언어학의 한 정점을 이루었던 훈민정음 창제의 정신을 오늘날에 이어받아서, 학자들의 역량을 모아서 세계 언어학계에서 주목 받을 수 있는 학회를 창립하였고 국제 학술지를 창간하려고 한다. 이 학회를 중심으로 해서 훈민정음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고 한글의 세계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한글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무문자 민족에게 한글로 자신의 언어를 적게 하여 그들의 사라져가는 언어를 살릴 뿐 아니라 그들의 구전 문학과 역사를 기록하도록 하여 자신의 문화를 보전케 하고자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순히 문맹을 타파하는 차원이 아니라 인류의 문화를 보전하는 큰 역할을 할 것이다.
2. 학회 연혁
- 2007년 8월 6일: 창립총회
- 2007년 9월 18일: 사단법인 훈민정음학회 설립 허가
- 2007년 7월 16일: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주 바우바우시와 한글 및 한국어 보급을 위한 MOU 체결
- 2007년 10월 9일: 창립 기념 학술대회 및 총회(서울대 인문대)
- 2008년 10월 9일: 제1회 국제학술회의(서울대학교 신양인문정보관)
- 2009년 7월 16일: 인도네시아 동남술라웨시주 바우바우시의 찌아찌아어 한글 교재 출판
- 2009년 7월 21일: 인도네시아 동남술라웨시주 바우바우시 소라올리오 지역의 초등학교에서 한글을 이용한
찌아찌아어 교육 시작 예정.
같은 지역 국립제6고등학교에서 한국어 교육을 시작할 예정.
같은 지역 국립제6고등학교에서 한국어 교육을 시작할 예정.